2024.12.19 (목)

  • 맑음동두천 -7.8℃
  • 구름많음강릉 1.5℃
  • 맑음서울 -4.6℃
  • 맑음대전 -5.3℃
  • 맑음대구 -1.4℃
  • 흐림울산 -1.3℃
  • 맑음광주 -1.6℃
  • 맑음부산 -0.6℃
  • 맑음고창 -3.7℃
  • 제주 5.5℃
  • 맑음강화 -5.6℃
  • 맑음보은 -7.6℃
  • 맑음금산 -6.1℃
  • 맑음강진군 0.5℃
  • 구름많음경주시 -1.3℃
  • 맑음거제 0.5℃
기상청 제공

경기도 김동연 지사, 아주대 시국선언 대학생과 브라운백 미팅

 

뉴스펀치 탁상훈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오늘 집무실로 윤석열 대통령 퇴진촉구 시국선언에 참여한 아주대학생 대표자 9명을 초청해 ‘브라운백미팅’을 했다. 브라운백 미팅에 참석한 아주대생은 김강건(정외23/대표), 이휘민(정외24), 이혜지(사회22), 김태종(사회21), 원종현(사학21), 윤정인(사회21), 위수한(사회21), 홍성호(사회21), 한윤재(사회20) 씨 등 9명이다.

 

아주대생 115명은 지난 9일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밝히는 동방의 횃불이 되자”는 제목의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경인일보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된 관련 영상은 100만 뷰를 넘겼을 정도로 화제를 모았다.

 

아주대 총장을 지낸 김동연 지사는 페이스북에 “용기 있는 아주대 학생들을 지지한다”면서 공개적으로 제자들에게 힘을 실었다. 이어 아주대 총장 시절부터 청년들과 적극 소통해온 방식인 ‘브라운백 미팅’을 마련해 학생들을 초청했다.

 

브라운백은 햄버거 가게 등에서 먹을 것을 담아 주는 ‘갈색봉지’를 말합니다. 브라운백 미팅은 간단한 점심을 곁들인 자유로운 대화시간을 의미한다.

 

김동연 지사는 아주대 총장 시절 격주 또는 한 달에 한 번 재학생들과 피자 등을 같이 하며 소통했었다. 다음은 오늘 브라운백 미팅에서 나온 주요 대화내용이다.

 

▶학생1= “아주대학교 총장 시절에도 그렇고, 학생들이랑 소통하는 걸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시는데 리더로서 좋은 소통은 어떤 거라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김동연 지사=“아주대 총장직을 맡을 때 첫 번째 결심한 게 ‘청년의 바다에 빠져보자’였어요. 굉장히 행복하게 총장을 했다고 생각하는데 원인은 학생들하고의 소통때문이었어요. ‘어떤 경우든 마음이 닫히면 다시 열기 힘들다’, ‘눈높이를 학생들에게 맞춰라’, ‘진심으로 들으려고 애를 써라’. 그런 얘기를 (총장)주위에 했어요. 그런 마음으로 했어요. ‘브라운백 미팅’ 한 숫자 합치면 8000명 정도 됐어요. 소통 잘하는 비결은 ‘공감’이라고 생각해요. 윤석열 대통령, 나는 공감능력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해요. 공감 능력은 자기가 살아온 환경과 무관하지 않을 겁니다.

 

나는 절대빈곤에 살았거든요. 끼니 걱정했고, 대학도 못 가다가 나중에 야간대학 갔고 17살 때부터 소년가장이었고. 우리 어머니는 학교 문턱에도 못 갔어요. 그래서 힘든 사람, 덜 공부한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는 거죠. 영어로는 그걸 ‘그 사람 신발을 신는다’고 표현하는데, 공감 능력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학생2="제가 2년전에 ‘파란(破卵)학기제’를 했는데, 뵐 기회가 있으면 꼭 물어보고 싶었습니다. 학점까지 주는 파격적인 걸 어떻게 추진하시게 됐는지.

 

▶김동연 지사=“파란학기를 만들면서 장학금도 주고 학점도 3학점에서, 18학점까지 줬어요. 처음에 내가 파란학기제 만들자고 할 적에 주변에 있는 보직교수들 전원이 반대했어요. 퀄리티 보장을 어떻게 하느냐예요. 그런데 내가 아주 강행을 했거든요.

 

내가 공무원 했던 80년대 초반은 지금보다 훨씬 학벌에 대한 게 강했어요. 행정고시 붙었어도 나처럼 상업고등학교 나오고 직장생활하면서 야간대학 다니는 사람은 나밖에 없었어요. 그래서 사실 가방끈 길게 하려고 유학을 갔어요. 공부를 1년 동안 죽어라 했는데, 깊은 회의가 찾아왔어요. ‘공부를 왜 하는 거지?’ 아무리 생각해도 답을 못 찾겠더라고. 돌아보니 꿈도, 내 꿈인 줄 알았더니 남의 꿈이었어. 남이 하고 싶은 일을 내가 하고 싶은 일로 착각하고 살면 이게 인생일까?

 

총장 돼서 우리 청년들은, 자기 목소리가 뭔지 알게끔 하는 구조와 환경을 만들어주자고 생각해서 만든거죠. 파란학기제 끝나면 주는 상이 지금도 ‘훌륭한 뱃사공상’이죠? 그 이름 내가 지은 건데 영국 속담 중 하나가 ‘잔잔한 바다는 훌륭한 뱃사공을 못 만든다’에요. 잔잔한 바다에서 뱃사공 만들게 하지 말고, 비바람 치는 폭풍우 속에서 해라, 물이 튀어 옷이 짠물이 젖어도 좋다는 취지로 지은 이름이죠."

 

▶학생 3=“지사님께서 지난 대선때 ‘공무원 철밥통’을 깨야한다고 하셨는데, 공무원 출신으로 파격적인 제안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무원 출신임에도 공약을 내놓으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김동연 지사=“그때 내가 주장했던 공약의 공통점은 ‘기득권 깨기’였어요. 다른 말로 하면 우리 사회의 ‘인센티브 시스템’을 바꿔야 합니다. 인센티브가 기득권을 만든 거예요. 일류대학 나와서 어떤걸 하려고 기를 쓰고 줄을 서요. 부의 대물림에서 이제는 사회적 지위와 직업이 대물림 되는 세상이에요.

 

이런 것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득권을 깨야 되겠다고 생각했고, 내가 공직자 출신이니까 내것(철밥통깨기)부터 얘기해야 되지 않겠어요?(웃음) 사실 (기재부)과장 때부터 얘기했어요. 철밥통 깨자, 행정고시 없애자, 중앙부처 과장급 이상은 직업안정성 없애자.”

 

▶학생 4=“공감 합니다. 지사님께서 야간대학 출신으로 학벌주의가 굉장히 심한 고위공직사회에서 성공하고, 그 과정에서 가방끈이 짧다는 이유로 많은 역경을 겪으신 걸로 알기 때문에 진심으로 더 공감이 갑니다.”

 

▶김동연 지사=“그런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니 기쁘고요. 마이클샌델은 기득권 내지는 양극화의 원인 중 하나로 대학 입시를 들면서 예컨대 아이비리그 학교들 입학생을 사정하는 방법은 랜덤추첨까지 얘기했어요. 오죽하면. 우리는 더 힘든 게 짧은 시간에 압축 성장을 했거든요. 그 성공 경험이 소위 말하는 능력주의라는 걸 굉장히 견고하게 만들었어요. 압축 성장 속 능력주의에서 신분의 상승을 했기 때문에 굉장히 어려워요.

 

이번에 계엄도 보세요. 윤석열이라는 사람이 살아온 궤적을 보세요. 능력주의의 폐해를 고스란히 갖고 있는 사람이에요. 한국은 자유와 자유주의를 구별 못 하는 정치인들이 태반이에요. 보수와 반공도 구별 못 하고 있어요.

 

나는 이번 일 겪으면서, 참모들에게 정치적 계산과 이해타산하지 말고 대한민국이 어떻게 될지만 판단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정치지도자는 첫째로, 대한민국을 먼저 생각하고, 두 번째로는 권력과 자기 사심이 아니라 봉사하고 희생하는 마음으로 정치를 해야하는 거죠.

 

여러분들이 꿈꾸는 대한민국은 어떤 대한민국인지 들어볼까요?”

 

▶학생1=“노무현 대통령이 그냥 아무 걱정 없이, 자기 일을 하면서 살아가는 것, 내일이 걱정되지 않는 세상을 말씀하셨습니다. 내일이 괴롭지 않 세상이 돼야 하지 않느냐는 생각입니다.

 

▶김동연 지사=”지금은 내일을 생각하면 괴로워요?“

 

▶학생1=”뉴스 속보 보는 게 너무 두렵습니다.“

 

▶학생2=”희망 찬 나라를 만들고 싶어요. 지금이 아무리 괴로워도, 내일 나아질 일말의 가능성으로 살아가는 게 사람이니까요. 그런데 청년층의 우울을 보면, 희망이 사라져 가는 것 같아서...사회적 계층 이동과 희망이 가득 찬 나라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학생3=“대화와 소통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입니다. 이번에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하셨던 담화를 보면 이분이 대화와 소통이 과연 가능한 분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화와 소통이 부재하기 때문에 본인의 이야기만 정당화하려는 독선과 오만이 한국 사회를 더욱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생4=“20대 청년들이 ‘헬조선’을 너무 쉽게 말하는 현실입니다. 미래가 기대되는 나라였으면 좋겠어요.”

 

▶학생5=“다양성이 있는 대한민국이요. 도지사님께서 청년들한테 기회사다리, 갭이어를 통해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해주셨는데, 대한민국에 능력주의가 팽배하다 보니까 길이 하나로 정해져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학교 잘 들어가서 좋은 직업을 가져야 한다 이런건데. 다양한 모습이 존중되지 않기 때문에 그쪽으로 몰리는 것 같아요.”

 

▶학생6=“우리 공장노동자의 삶은 대학에서 아예 언급되지 않고, 청년들도 상상하지 못하는 삶이 되어버렸습니다. 청년들이 그걸 상상하지 못하는 것이 단순히 상상력 빈곤때문만은 아니라고 봅니다. 가장 기본적인 부동산, 집이라는 건 우리가 가질 수 없는 것이라는 절망이 우리세대에 기본적으로 깔려 있고, 최대한 안정적으로 직업을 유지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줄어드는 세상이므로 학벌주의나 능력주의가 합리화되고 거기에 적응해가면서 살고 있어서인 거 같습니다. 공장 노동자라고 해도, 미화원이라고 해도 천시받지 않고, 다른 이와 비슷한 정도의 삶의 질을 누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이런 세상을 만들어주세요라고 하기엔, 너무 어렵기는 하겠지만.”

 

▶김동연 지사=“(학생6 얘기에)동의합니다.시장에서 공급할 수 없는 것들... 국방, 치안, 도로 이런 게 ‘공공재’죠.

 

아주 적극적인 개념으로 해석을 하면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는 것도 공공재입니다.

 

취약계층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도 공공재에요. 그래서 공공재 공급을 위한 국가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해요. 국가와 사회가 역할을 크게 해야 돼요.

 

그리고 다들 희망을 잃지 마세요. 나는 인생의 암흑기가 있었다면... 남들은 ‘청춘’이라고 불렀을 때가 내 인생의 암흑기였어요. 터널 속에 갇혀 있었을 때가 있었어요. 정말 한줄기의 희망이 없었을 때가 있었어요. 그런데 지나고 보니까 그때도 뭐가 되게끔 만들 수 있더라고. 자기 하기 따라서 인생의 엄청난 자산이 될 가능성이 많아요. "